top of page

『대한민국과
​국제정치』

스크린샷 2025-06-02 오후 5.07.10.png

📘 『대한민국과 국제정치』 |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대한민국과 국제정치』는 한국의 외교사와 국제정치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이론적·역사적 해설서입니다. 국제 정치의 원리부터 정책 제안까지, 학계는 물론 실무자와 국민에게도 큰 도움을 줄 만한 책입니다.

 

✨ **“나는 내 조국을 내 영혼보다 더 사랑한다”**는 에필로그는 애국과 외교의 철학적 배경까지 깊이 사유하도록 이끕니다

🔍 핵심 내용 정리

1️⃣ 역사 속 격변과 대한민국의 대응

🌍 이 책은 구한말 서구 문명 충격부터 일본 제국주의, 냉전 체제, 탈냉전 이후 미·중 패권 경쟁까지, 대한민국이 국제정치의 파도 속에서 어떻게 생존하고 대응해 왔는지를 추적합니다.

2️⃣ 미·중 패권 경쟁을 바라보는 눈

⚖️ 21세기, 미국과 중국 간 패권 경쟁은 한국 외교의 핵심 변수입니다. 이론(패권안정, 세력균형, 신현실주의, 구성주의)을 통해 한국이 어떤 전략으로 대응할 수 있을지 통찰을 제공합니다 .

 

3️⃣ 냉전기 한국 외교의 기반

🧊 미·소 냉전 시기, 이승만 정부는 한국전쟁과 건국을 경험하며 미국과의 전략적 동맹을 구축해 왔습니다. 책은 이를 통해 한국 외교의 이념적·안보적 기반 구조를 분석합니다.

4️⃣ 외교 혁신의 흐름

🚀 북방정책부터 햇볕정책, 동북아 균형자 전략, 한반도형 헬싱키 프로세스 등 한국 외교는 냉전 탈피와 지역 안정을 향한 실험을 거듭해 왔습니다. 이 책은 이를 단계적으로 정리하고 평가합니다.

5️⃣ 글로벌 시대와 한·미 동맹의 재조명

🌐 한·미 동맹은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공동비전 선언 등을 통해 단순 군사동맹에서 동북아 평화와 국제 협력의 플랫폼으로 확대되었습니다. 21세기 글로벌 질서 속 한국 외교의 위치를 전망합니다.

6️⃣ 핵심 교훈과 정책적 제언

📌 이론과 현실을 겸비한 분석을 바탕으로:

  • 미·중 패권 경쟁 속에서 취할 전략

  •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정치·외교적 접근

  • 대한민국의 국익 중심 외교 방향 등을 구체적으로 모색합니다​​.

 

 『건국과 부국
이승만, 박정희
​시대의 재조명』

스크린샷 2025-06-02 오후 5.07.32.png

📘 『건국과 부국』

 

1️⃣ 시대를 꿰뚫는 학자의 통찰

🧠 이 책은 고(故) 김영호 교수가 2004년에 펴낸 원본을 수정·보완하여 재출간한 것으로,
대한민국 현대사 중 해방 이후부터 1970년대 유신체제까지를 깊이 있게 다룹니다.
정치학자인 저자는 사학자 못지않은 열정과 노력을 기울여,
1차 사료 중심의 객관적 분석을 통해 한국 정치사를 새롭게 조명합니다.

 

2️⃣ 비교사적 시각으로 본 대한민국 정치사

🌐 이 책의 가장 큰 강점은 국내 정치사를 세계사적 맥락에서 비교 분석했다는 점입니다.

  • ‘민족사적 특수성’을 날줄로,

  • ‘세계사적 일반성’을 씨줄로 엮어낸 저자의 분석은
    단지 사건을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구조적·철학적 의미까지 함께 해석합니다.

 

3️⃣ 좌우 이념을 넘어선 해석의 신뢰

⚖️ 저자의 해석은 이념적 편향을 뛰어넘는 객관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좌우 어느 진영의 학자들도 그의 분석 틀에 쉽게 반론을 제기하기 어려울 정도로 정교합니다.
이는 한국 현대사 연구에 있어 극단적 편향을 넘어선 통합적 시각을 제시합니다.

 

4️⃣ 학계의 왜곡을 교정하는 나침반

 

🧭 그동안 학자들은 해방 이후 한국의 특수한 역사 경험을 선택적으로 짜깁기하거나
자신의 정치적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한 도구로 삼는 자의적 해석의 오류를 범해 왔습니다.
이 책은 그런 오류들을 조목조목 바로잡는 일종의 지적 교정 장치로 기능합니다.

 

5️⃣ 건국과 부국을 이끈 두 인물에 대한 재조명

🏛️ 이승만과 박정희는 대한민국의 ‘건국’과 ‘부국’을 대표하는 상징적 인물입니다.
저자는 두 인물의 역할과 한계, 그리고 그들의 정책이
어떻게 오늘날 한국의 토대를 형성했는지를 구조적·역사적 관점에서 분석합니다.

  • 단순한 찬양도, 비판도 아닌

  • 균형 잡힌 역사적 이해를 도모하는 점에서 이 책은 깊은 의미를 가집니다.

품격 있는
보수를 꿈꾸다

스크린샷 2025-06-02 오후 5.07.59.png

📘 『품격 있는 보수를 꿈꾸다』

– 한 시대를 꿰뚫은 이성적 보수주의자의 유산
(김일영 유고집, 김일영유고집간행위원회, 2010)

 

1️⃣ 🧠 학자의 삶, 시대의 고민과 함께 걷다

故 김일영 교수는 한국현대사, 외교사, 국제관계론, 동아시아 발전모델을 넘나들며
우리 시대 가장 폭넓고 깊은 사유를 이끌어낸 학자였습니다.
✍️ 교단에 선 순간부터 타계 직전까지, 그는 글과 연구, 제자 양성에 헌신하며
한국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끊임없이 탐구했습니다.

 

2️⃣ 📚 ‘이성적 보수’를 향한 철학과 실천

그의 사상은 진영논리에서 벗어난 자유주의적 보수주의로 요약됩니다.

  • 무책임한 진보에 대해선 비판했고,

  • 귀를 닫은 보수에게는 날카로운 일침을 날렸습니다.
    그는 시민의 책임과 자유를 강조하며, 정치권력화된 시민단체에도 예외 없이
    지성인의 윤리적 책무를 주장했습니다.

 

3️⃣ ✨ 통찰력 있는 글, 품격 있는 언어

📝 이 책은 김 교수가 생전 발표한 주옥같은 칼럼들을 모은 유고집입니다.
각 글은 시대정신을 꿰뚫는 통찰과 함께
📌 역사 인식의 오류 교정,
📌 보수의 품격 정립,
📌 국가의 미래를 위한 제언 등으로
냉철한 분석과 애국적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4️⃣ 🤝 유고집의 출간 배경과 의의

이 책은 2010년 초 결성된 김일영유고집간행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교수의 학문과 인품을 존경하던 동료, 선후배 학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완성한 결과물입니다.
한 편 한 편의 글 속에는 폐쇄되지 않은 열린 지성인의 풍모와 철학이 녹아 있으며,
이 시대 보수가 지향해야 할 진정한 가치가 담겨 있습니다.

 

✅ 결론

『품격 있는 보수를 꿈꾸다』는 단순한 칼럼집이 아닙니다.
🇰🇷 지식인으로서, 시민으로서, 한 국가를 사랑한 한 사람의 치열한 고민과 철학이자,오늘날의 대한민국에 주는 성찰과 각성의 메시지입니다.

🙇 “지금 대한민국 학계는 한 명의 소중한 지식인을 잃었다”는 말이 아프게 다가오는 지금,
이 책은 그 빈자리를 메워줄 품격 있는 지성의 흔적으로 남을 것입니다.

 『이승만의 정치 경제사상 1899-1948

스크린샷 2025-06-02 오후 5.08.22.png

📘 『이승만의 정치 경제사상 1899-1948』

– 실학·통상·평화로 읽는 대한민국 건국 사상의 기원
(박명수 외,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1️⃣ 📜 실학과 통상의 정신, 사상으로 계승되다

  • 이 책은 이승만 사상의 근간을 조선 후기 실학의 합리주의와 개화기의 통상 사상에서 찾습니다.

  • 실사구시적 사고와 세계 질서 속에서 약소국이 생존하는 길로서의 통상과 외교,
    그리고 자유주의적 평화주의가 그의 정치·경제 사상을 형성한 핵심 요소였음을 보여줍니다.

 

2️⃣ 🎓 박사학위 논문 ‘미국 영향 하의 중립’을 중심으로

  • 이승만의 박사학위 논문 **『Neutrality as Influenced by the United States』**는
    국제정치 속에서 소국이 독립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을 이론적으로 정립한 문서입니다.

  • 이 책은 바로 이 논문과 다양한 이승만의 저술을 통해
    그의 국가론, 통상론, 안보론, 자유주의 철학을 조명합니다.

 

3️⃣ ⚖️ 약소국의 생존 전략: 통상과 평화

  • 이승만은 자주독립과 평화 유지의 길이 통상 개방과 국제적 연대에 있다고 보았습니다.

  • 특히 외교를 통한 중립 확보, 자유무역을 통한 국력 강화,
    그리고 도덕적 외교 철학은 그가 평생 추구한 외교·경제 원칙이었습니다.

 

4️⃣ 🛡 정치와 경제의 통합적 시야

  • 이 책은 이승만을 단순한 정치가가 아니라,
    사상적 기반 위에 실천한 외교가이자 경제적 현실주의자로서 조명합니다.

  • 통상은 단순한 물자 교류가 아닌, 국가 생존과 외교 전략의 핵심 요소로 이해되었습니다.

 

5️⃣ 🧠 1899년에서 1948년까지의 사상적 연속성

  • 이 책은 이승만의 사상이 청년기 유학 시절부터 건국까지 어떻게 일관되게 발전해 왔는지를
    연대기적·주제적 분석을 통해 명확하게 드러냅니다.

  • 그의 사상은 시대에 따라 변모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역사적 정세에 맞춰 실천적으로 구체화된 결과임을 강조합니다.

 

✅ 결론

『이승만의 정치 경제사상 1899-1948』은 이승만을 사상가, 외교 전략가, 현실주의자로 통합적으로 해석합니다.
🇰🇷  실학과 통상, 중립과 평화, 자유주의의 실천은 대한민국이라는 약소국이 어떻게 탄생하고 유지될 수 있었는지를 설명하는 사상적 지주였습니다.

스크린샷 2025-06-02 오후 5.08.52.png

 『이승만 깨기

📘 『이승만 깨기』

– 이승만, 왜곡된 기억을 걷어내는 진실의 보고서
(우남 이승만 제자리 찾기 프로젝트)

 

1️⃣ 🇰🇷 대접받지 못한 건국의 아버지

  • 대한민국을 세운 대통령, 우남 이승만은 정작 자신이 세운 나라 안에서 홀대받고 있습니다.

  • 김구, 여운형은 기념되고 있지만, 이승만은 왜곡과 비난의 대상이 되어 왔습니다.

  • 독립운동, 민주주의 실천, 외교 전략 등 진짜 업적은 가려지고,

  • “독재자, 도망자, 친일정권 수립자”라는 오명만 남은 현실을 이 책은 날카롭게 지적합니다.

 

2️⃣ 🔍 교육부터 왜곡된 이승만 서사

  •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이승만은 부정적으로만 가르쳐졌습니다.

    • “독재자”라 배웠지만, 국민이 퇴진 요구하자 자진 사퇴했습니다.

    • “부정선거의 주범”이라 했지만, 부통령 선거의 부정에도 스스로 책임을 졌습니다.

    • “서울 도주자”라 비난하지만, 전시 상황에서 정부 이전은 상식적인 판단이었습니다.

  • 📚 이 책은 이러한 교육적 서사 왜곡을 바로잡기 위한 역사 복원의 작업입니다.

 

3️⃣ 🛡 진실과 왜곡의 충돌: 반공, 외교, 동맹

  • 미국의 앞잡이라는 비난은 북한이 김일성의 소련 종속을 덮기 위해 던진 프레임입니다.

  • 실제로 미국은 이승만을 견제했고, 그는 반공포로 석방 등으로 미국을 압박하며 외교적 주도권을 쥐었습니다.

  • 그 결과, 한미상호방위조약이라는 전략적 성과를 이끌어냅니다.

  • 무장투쟁 대신 국제정세를 활용한 외교의 신의 한 수는 국제 분쟁사 속에서도 주목할 만한 업적입니다.

 

4️⃣ ✍️ 반년간의 연구와 토론으로 탄생한 ‘정밀 보고서’

  • 『이승만 깨기』는 지난 6개월간 연구자들이 함께 쌓아 올린 결과물입니다.

  • 단순한 전기나 찬양서가 아니라,

    • 이승만에 씌워진 저급한 루머부터 정교한 프레임까지,

    • 하나하나 해체하고 역사적 근거로 반박합니다.

  • 📖 건국, 농지개혁, 한미동맹, 교육혁명 등
    이승만의 업적을 세계사적 시야에서 객관적으로 재구성한 책입니다.

 

✅ 결론

『이승만 깨기』는
📌 건국의 아버지를 ‘도망자’로 가르치는 이 나라 교육에 던지는 통렬한 반박이며,
📌 대한민국이 이승만을 정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정상국가’로 거듭나기를 바라는 지식인의 외침입니다.

🕊 “이제는 왜곡의 시대를 끝내야 한다.”


이 책은 이승만을 바로 알아야 비로소 대한민국이 바로 설 수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 줍니다.

  • Instagram
  • YouTube

1776 Institute is a think tank based in Seoul, Dedicated to studying and promoting American conservatism in Korea,

which seeks to preserve the Spirit of Independence and the Western Civilization from which it emerged.

1776연구소는 미국의 독립정신과 그 뿌리가 된 서구 자유문명을 보전하려는

영미 보수주의를 연구하고 대한민국에 그 가치를 전파하는 싱크탱크입니다.

Tel : 01059491776

Email :1776institute@gmail.com

1776연구소를 후원해주세요 다음세대에 독립정신을 심겠습니다

우리은행 1005-004-781904 (1776 연구소 후원계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