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3층 서기실의 암호

스크린샷 2025-09-03 오후 4.34.55.png

3층 서기실의 암호

📌 김정은은 정말 신뢰할 수 있는 지도자인가?

  • 김정은은 실제로 무자비한 독재자이지만, 남북 정상회담 등의 이벤트로 이미지가 미화됨.

  • 여론조사에서는 77.5%가 김정은에게 신뢰가 간다고 응답한 바 있음.

  • 그러나, 실제 북한은 정치적 자유도, 인권, 투명성, 법치가 전무한 체제이며, 김정은은 독재 권력을 절대적으로 유지하고 있음.

👉 외형적 이벤트와 실제 체제의 본질은 완전히 다르며, 김정은은 결코 신뢰할 수 있는 지도자가 아님.

 

☢️ 북한이 말하는 '비핵화'는 주한미군 철수다

📘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 비핵화’는 다르다!

  • 2018년 남북 정상 합의문에는 “한반도 비핵화”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음.

  • 하지만 북한이 말하는 한반도 비핵화는 다음을 뜻함:

    • 남한에 대한 미국의 핵우산 철회

    • 주한미군 철수

    • 미국이 더 이상 한반도 인근에 핵무기를 배치하거나 위협하지 않을 것

❗즉, 북한의 '비핵화'는 북한 핵포기가 아니라, 미국 핵의 철수와 군사적 영향력 제거를 의미함.

 

📚 김정일의 발언으로 드러난 북한의 핵전략

“조선반도 비핵화란 북한만이 아니라 남조선까지 포함한 전 조선반도의 비핵화를 뜻한다.”
“오직 우리의 핵으로 미국의 핵을 몰아낼 수 있다.” — 김정일

  • 김정일은 핵무기를 북한 체제를 지키는 최후의 수단으로 간주했음.

  • 이는 김정은 시대에도 그대로 계승된 전략 노선임.

 

🇨🇳 중국과의 외교적 충돌 – 강석주의 발언

📅 2006년 10월 12일 (1차 핵실험 직후)
📍 중국 선양에서 열린 비공개 회담에서 강석주(북 외무성 1부상)와 리조성(중 외교부장)이 격렬히 충돌

▶️ 중국의 입장 (리조성 발언)

  • 김일성의 비핵화 유산을 배신했다며 비판

  • 핵개발은 경제적 자멸을 초래할 것

  • 핵이 아닌 경제 발전이 체제 유지의 열쇠라고 주장

◀️ 북한의 입장 (강석주 반박)

  • “소련은 군비 때문이 아니라 사상 교양 실패 때문에 무너졌다.”

  • “우리의 비핵화란 남조선까지 포함한 전 조선반도의 비핵화다.”

  • “우리 핵으로 미국 핵을 몰아낼 수 있다.”

  • “김일성의 비핵화 사상은 미국의 핵 위협 제거가 전제되어야 실현 가능하다.”

⚠️ 이 발언은 북한이 지금까지 일관되게 주장해온 핵보유의 정당성 논리를 보여줌.

 

🧠 정리: 북한의 핵은 절대 포기 대상이 아니다

  • 북한에게 핵무기는 외교 협상의 수단이 아니라 체제 생존의 보루임.

  • ‘비핵화’를 외치는 동안에도 내부적으로는 핵무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추진해왔음.

  • **"우리의 핵은 미국 핵을 몰아내기 위한 것"**이라는 인식은 북한 외교의 핵심 논리.

 

✍️ 결론: 외교 이벤트에 속지 말아야 한다

  • 대중에게는 김정은이 친화적이고 신뢰할 만한 지도자처럼 보이게 포장되고 있지만,

  • 실상은 체제 생존을 위한 핵무기 강화와 주한미군 철수 전략이 굳건히 유지되고 있음.

  • 태영호 공사의 내부 증언은 북한을 판단하는 데 있어 언어의 함정과 전략적 위장을 꿰뚫는 통찰을 제공함.

  • Instagram
  • YouTube

1776 Institute is a think tank based in Seoul, Dedicated to studying and promoting American conservatism in Korea,

which seeks to preserve the Spirit of Independence and the Western Civilization from which it emerged.

1776연구소는 미국의 독립정신과 그 뿌리가 된 서구 자유문명을 보전하려는

영미 보수주의를 연구하고 대한민국에 그 가치를 전파하는 싱크탱크입니다.

Tel : 01059491776

Email :1776institute@gmail.com

1776연구소를 후원해주세요 다음세대에 독립정신을 심겠습니다

우리은행 1005-004-781904 (1776 연구소 후원계좌)

bottom of page